롱블랙 앱이 새로워졌어요!
오늘의 노트, 이제 앱으로 만나보세요.
매일 아침 8시에 알려드릴게요!
자세히보기
롱블랙 앱이 새로워졌어요!

케빈 켈리 : “기술을 낙관할 때, 우린 나아간다” 세계적인 IT 구루의 조언


롱블랙 프렌즈 L

케빈 켈리Kevin Kelly. 실리콘밸리의 ‘테크 구루’로 불리는 인물이야. 뉴욕타임스가 ‘위대한 사상가’로 칭하기도 했지. 미국의 기술문화 잡지 「와이어드Wired」를 공동 창간했고, 7년 동안 초대 편집장을 맡았어.

그는 늘 ‘기술의 아름다움’을 예찬해왔어. 빌게이츠Bill Gates나 스티브 잡스Steve Jobs를 만나 기술의 미래를 토론했지. 『인에비터블 미래의 정체』, 『기술의 충격』 같은 세계적 베스트셀러를 쓰기도 했어. 일흔이 넘은 지금도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에 글을 쓰는 중이야.

캘리포니아에 사는 그를 임 모니카 칼럼니스트와 함께 화상으로 만났어. 그는 도인 같은 모습이었지. 새하얀 머리와 수염에 편안한 티셔츠. 마치 친구와 잡담하듯 기술의 어제와 오늘을 얘기했지. 무려 2시간 동안 말이야.


Chapter 1.
왜 모두가 기술을 알아야 할까

켈리가 와이어드를 창간한 건 1993년. 아직 컴퓨터나 인터넷이 대중에 확산하기 전이었어. 생각해 봐. 구글이 1998년, 네이버가 1999년에 설립됐어. 그 시절의 기술은, 소수 전문가들의 이슈였지.

그래서 와이어드는 더 참신했어. ‘대중을 위한 기술 잡지’를 선언했거든. 창간호에 켈리는 이렇게 썼어.

“우리가 가진 기회이자 의무는, 계속 독자보다 앞서서 세상이 어딜 향해 움직이고 기술이 어떤 방향을 제시하는지 깊이 이해하게 해주는 것이다.

우리의 아이들은 100살을 넘게 살 것이다. 지금 흔한 직업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이 살아갈 도시는 새로운 조직 규범을 가질 것이며, 대중교통 시스템 역시 완전히 재구성될 것이다. 다가올 미래를 대중이 다 함께 준비하게 만들겠다. 미래는 소수의 전유물이 아니다.”
_1993년, 와이어드 창간호 소개글 중에서

위드 롱블랙